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 여름 홍수 피해가 난 북한 신의주에선 복구 공사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> <br>문제는 열악한 환경인데 아니나 다를까 탈북이 속출하고 있단 소식입니다.<br> <br>박수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고층으로 지어진 주택 건물들을 돌아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. <br> <br>올해 7월 하순 대규모 홍수로 괴멸적 피해를 입은 평안북도 신의주 일대로, <br> <br>김 위원장은 피해 복구 뿐 아니라 이미지 개선을 위해 고층 건물을 12월까지 세울 것도 지시한 겁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억척의 제방들이 솟아나고 안전지대에 독특한 형식을 자랑하며 경쟁적으로 일떠서는 도시형 농촌살림집들을 보고나니 감개함을 금할 수 (없습니다.)" <br> <br>하지만 현장에서는 열악한 노동 환경 때문에 작업자들의 불만이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수해 복구 현장에는 수천 명의 주민과 돌격대, 인민군이 차출됐는데 이들 중에는 불만을 참지 못하고 '탈북' 시도를 하는 사람들까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됐습니다. <br> <br>대북소식통은 "현장 인근 압록강에서 무리하게 강을 건너다가 익사하거나 총살 당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이 소식통은 "이런 탈북이 복구 작업이 시작된 8월부터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탈북을 시도했다 붙잡힌 사람들만 수십 명에 이른다"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정보 당국도 이런 사실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정보 당국자는 "북한 수해 복구 현장의 열악한 노동 환경으로 동원 인력들의 이탈 등 사건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"며 "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북한은 중국과 함께 접경 지역 도로에 감시 천막을 설치하고 탈북 시도를 상시 단속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김민정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ichannela.com